Post

(Python) 좋은 코딩 습관 2편

좋은 코딩 습관 Python 2편

오늘 소개할 Python의 좋은 코딩 습관은 할당 코드를 한 줄로 표현하기입니다. 이게 무슨 의미냐? 당연히 할당 코드를 작성할 때는 한 줄로 쓰지 않아? 뭐 다른게 있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if 또는 for와 같은 조건문, 반복문이 나온다면 여러줄이 하나의 할당코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한 줄로 간단히 작성하는 습관을 들인다면,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예시

먼저, 말하고자 하는 상황을 예시로 보는 것이 이해하기에 편할 듯 싶다. 각각 위아래의 코드는 조건문과 반복문에서 변수에 값들을 할당하는 예시들이다.

1
2
3
4
5
6
7
num: int = int(input('input a number'))
result: str = None

if num%2 == 0:
    result = 'even'
else:
    result = 'odd'
1
2
3
lst = []
for i in range(1, 100, 3):
    lst.append(i)

제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이해되시나요? 이러한 코드들을 1~2 줄로 매우 짧게 표현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바가 제가 이번 습관에서 말하고 싶은 바입니다.

조건문

목적 (purpose)

1줄로 코드를 바꾸려고 하는 노력이 대체 왜 필요할까? 나는 이런 질문을 던지고 싶다. ‘코드를 길게 짰다고 해서 잘 짠 코드일까?’, ‘이런 습관의 요구는 리팩터링과 유지보수의 목적이 전부일까?’ 아니다. 코드를 길게 몇 천줄, 몇 만줄, 몇 십만줄 이렇게 짰다고 하면, ‘어떻게 그렇게 길게 짤 수가 있지?’라는 반응과 함께 ‘대단하다’라는 감정이 드는가? 정말 대단한 코드일 수 있다. 하지만, 의미없는 코드만 덩그러니 남겨있는 경우도 많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습관의 요구는 결국 쓸모없는 코드를 해석하는 노력을 최대한 줄여서 디버깅에 드는 시간을 줄이자는 목적이 굉장히 강하게 들어있다.

축소 코드 (concise form)

실제로 살펴보자. 사실 조건문 예시 코드는 파악하기 어렵지 않다. 숫자를 받아들이고, 그 숫자가 홀수인지 짝수인지 구분한다. 이 간단한 코드를 해석하고자 6줄의 코드를 우리는 해석해야한다. 이건 텍스트 낭비, 코드라인 낭비, 노력 낭비가 된다. 축소 코드를 살펴보자.

1
2
num: int = int(input('input a number'))
result: str = 'even' if num%2 == 0 else 'odd'

훨씬 간단하고, 해석하기에도 편하지 않은가? 쓸모없는 코드 라인들이 모두 사라졌다. 이렇게 축소된 코드의 형태로 코딩을 하는 것이 더 좋은 코드를 짜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물론, 익숙하지 않아서, 간단하게 보이지 않고 해석하기에 불편해보일 수 있다. 하지만, 익숙해진다면, 가장 처음 보여주었던 예시 코드가 더러워보이는 지경에 이를 수도 있다.

장단점

장단점은 명확하다. 장점은 위에서 언급한 단점을 없애준다. 단점은 elif를 통한 다조건이 불가능하다. if~elif~else를 써야한다면, 어쩔 수 없이 축소 형태는 사용하지 못한다.

반복문

축소 코드 (concise form)

반복문의 경우, 축소된 코드부터 확인해보자.

1
lst = [i for i in range(1, 100, 3)]

정말 훨씬 더 쉽고, 간편하게 할당할 수 있다. 물론 이 방법은 iterator에 대해서는 for를 통해 실현가능한 코드이다. 이는 list.append함수를 계속해서 호출해 코드가 더 느려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좋은 코드가 된다. 이는 반복을 통해 계속해서 원소를 추가하는 옛 방식보다 훨씬 메모리 그리고 실행속도 측면에서 많은 이점이 있다.

물론, 아래처럼

1
list(range(1, 100, 3))

으로도 가능하지만 이건 내가 말하고자 하는 포인트가 아니니 알아서 패스하자.

마치며

오늘은 할당 코드 문법을 간단한 형태로 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이 습관이 잘 안 받아들여지겠지만, 요즘 코딩 좀 한다싶으면 다 이 문법을 쓰고 있는 경우를 볼 수 있다. 또는 잘 만들어진 최신의 프레임워크나 모듈, github repository를 뜯어보면, 이렇게 짜여진 경우가 굉장히 많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이건 습관이므로, 무조건 이렇게 해야한다는 강요는 할 수 없다. 하지만, 이 습관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코드를 통해 더욱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방법으로 소통할 수 있게 되었으면 좋겠다. 다들 더욱 좋은 코드를 짤 수 있는 사람들이 되었으면 좋겠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